부동산 실시간으로 거래가를 조회할 수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까요? 현재 이 시가가 맞는지 높은지 낮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2년 사이에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많은 분들이 부동산 거래가를 조회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부동산 거래가를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거래가 조회하기
국토교통부에서 공공데이터 개방, 실거래 자료 요청이 증가하면서 부동산 거래에 대한 가격과 거래 동향을 파악할 수 있게 공개하고 있는데요.
부동산 거래 신고제를 통해서 수집한 실거래 자료들과 얻은 자료들로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주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간을 정해서 원하는 시간대에 필요한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조회 방법은 다양하고 말고도 다양한 곳에서 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 홈페이지는 2006년부터 부동산 거래 및 주택거래에 대한 신고를 받은 주택, 오피스텔, 토지, 상업 및 모든 부동산에 대해서 2007년 6월 29일 이후부터 체결한 모든 매매 대상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전월세가 실거래가 공개는 2021년 6월부터 임대차계약 신고를 한 서울부터 다양한 곳으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년도에서 주소 구분, 시도, 시군구, 읍면동, 단지까지 세부적으로 입력해서 할 수 있으며 2022년에는 검색이 나오기도 하고 안 나오기도 합니다.
확인하고 싶은 지역을 국토교통부 공개시스템에 접속해서 바로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굳이 회원가입을 하지 않더라도 바로 검색할 수 있는데요.
웹 페이지 상단에 주택 유형까지 골라서 정확한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본 자료는 부동산 계약 후 30일 이내에 반드시 신고자가 신고해야하기 때문에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에 있어서 신뢰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연도에 따라서 안 나오는 정보들도 있는데요. 이런 부분은 네이버 혹은 KB에서 도와줍니다.
네이버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는 전문가들도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인데요. 정확하게 2022년도에 거래된 것까지 실거래가를 알려줍니다.
부동산에서 직접 정보를 업데이트해서 더 믿을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단지만 입력해도 학군에서 교통까지 모든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막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를 알아보신다면 간편하고 보기 쉬운 네이버도 좋습니다.
지역의 현재 개발 이슈나 투자 목적으로도 보기에 딱 좋습니다. 국토부 홈페이지보다 네이버 부동산이 초보 및 입문용으로 딱 좋습니다.
사실 전문가들도 많이 보기 때문에 믿을 수 있습니다.
KB 리브온
말고도 더 쉽게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는 KB국민은행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시세 조회 사이트인 ‘리브온’도 좋습니다.
네이버 부동산은 올드한 느낌이지만 Kb에서 제공하는 리브온은 인터페이스가 더 좋습니다. 지도에서 찾을 수 있고 단지 및 지역, 다양한 주변 구석구석까지 정확한 시세를 알 수 있습니다.
빠른 메뉴보기로 우리집 시세를 알림을 받을 수 있고 분양 및 빠른 시세 조회도 가능합니다.
부동산 거래가 조회
국토교통부, 네이버, kb 등 다양한 곳에서 시세를 비교해보시고 평균점을 찾아서 기준을 매기시길 바랍니다.
전, 월세는 많은 어플이 있기 때문에 수요층에 맞게 의견이나 입장 후기들을 볼 수 있는데요. 장단점이 다 있기 대문에 어느 한 곳의 정보망에 치중하기 보다는 다양한 정보 수집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거래하기 전에 불편한 일이 생긴다면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나 부동산거래 질서 교란 행위 신고를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이렇게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들을 알아보았는데요. 특히, 가장 마음에 들었던 kb 리브온은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알아두시고 주변에 알려주시고 같이 쓰셔도 좋은 것 같습니다.
아파트, 연립, 단독, 다가구, 오피스텔, 토지, 상업, 공장, 전월세 등 다양한 거래에 대한 실거래가를 한 눈에 보이는 곳을 이렇게 쉽게 검색만으로 알 수 있다니 요즘 세상이 좋아진 것을 느